신생아 황달은 신생아의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란색을 띠는 것을 말하며 신생아에서 흔히 관찰되는 증상이다. 생후 첫 주 내에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관찰되며,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학적인 장애는 물론 사망까지 이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황달은 혈중에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황색 물질이 많아서 생기는 증상이다.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만들어지며,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된다. 따라서 파괴되는 적혈구가 많거나 생성된 빌리루빈이 간에서 처리되지 못했을 때 황달이 발생하게 된다.
신생아에서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5mg/dl 이상일 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피부를 눌렀을 때 노란색의 피부가 얼굴에만 나타나면 간접 빌리루빈이 5mg/dl, 복부 중앙까지 나타나면 12mg/dl, 발바닥까지 나타나면 20mg/dl로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복부 아래(약 15mg/dl)까지 황달 증상이 나타나면 혈액 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신생아 황달의 유형, 원인과 증상은?황달은 원인에 따라 생리적 황달, 모유 황달, 병적 황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핵황달’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 생리적 황달 =정상아에게 생기는 황달로 보통 생후 3~5일경에 생기며 출생 후 간의 빌리루빈 제거 능력이 급속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보통 1주일 이내에 사라지게 된다.
· 모유 황달 =모유를 먹인 아기는 흔히 황달이 10일 이상 오래가고 심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모유를 1∼2일 정도 일시적으로 끊어 황달이 모유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모유 황달은 모유가 나빠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모유 황달로 확인되면 다시 모유를 먹인다.
· 병리적 황달 =생리적 황달과 발생하는 시점이나 양상이 다르다.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거나 10일 이후에도 지속하며 황달의 수치가 14mg/dl 이상이면 병적인 황달로 생각할 수 있다. 엄마와 아기의 혈액형이 맞지 않아서 오는 용혈성 질환, 간염이나 심한 감염에 걸렸을 때, 선천성 대사질환, 담관 폐쇄 등 기저질환이 원인으로 예후가 나쁜 핵황달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조기에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핵황달(kernicterus) =혈중 빌리루빈이 뇌의 기저핵에 침착하여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뇌성마비, 청력 상실, 지능 저하 등의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 핵황달이 생기기 전에 미리 황달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신생아 황달 치료, 광선치료와 교환수혈이란?모든 황달 치료의 목표는 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20mg/dl 이하로 유지하여 뇌세포 내에 빌리루빈이 침착되어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핵황달’의 위험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황달이 위험 수준에 도달한 경우 병원에 입원해 420~470mm의 청록색 빛을 이용한 광선치료를 시행한다.
광선치료는 강력한 형광 치료 불빛에 노출 시켜 치료하는 방법으로 빌리루빈 수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정상 만삭아에서는 1~3일 정도 광선치료 하면 최고 빌리루빈 수치가 절반 정도로 감소한다. 광선 치료에 실패하거나 핵황달의 징후가 나타나면 교환 수혈을 시행한다. 교환수혈은 황달이 심한 아이의 피를 정상인의 피로 교체해 황달 수치를 떨어뜨려 주는 치료법을 말한다.
간혹 황달이 있는 신생아를 원인을 밝히지 않고 집에서 햇볕 등 민간요법을 이용해 치료하려는 부모들이 있지만, 이는 잘못된 방법이다. 생리적 황달일 경우 약간의 도움이 될지는 몰라도 병적인 황달의 경우에는 오히려 병을 키울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치료 후에도 황달이 다시 심해질 수 있으므로 아이의 몸을 꼼꼼히 관찰해 이상이 있으면 바로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